HOME > 자료실 >
수목전지, 나무전정 의 시기
수목 나무전정의 시기는 수종의 생육 및 개화패턴을 고려하여 정한다.
(1) 상록침엽수의 전정은 동절기를 피하여 10∼11월에 시행한다.
(2) 상록활엽수의 전정은 생장 정지시기인 5∼6월, 9∼10월에 시행한다.
(3) 낙엽활엽수의 전정은 발아한 잎이 굳어지는 시기(7∼8월) 및 낙엽기(11∼3월)에 시행한다.
(4) 협죽도, 배롱나무, 싸리 등 봄에 눈이 신장하여 화아를 만들고 그해에 꽃이 피는 종류의
전정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의 발아하기 전까지의 기간에 시행한다.
(5) 수국, 매실, 복숭아, 동백, 개나리, 서향, 치자, 철쭉류 등 봄에 개화하며 신장한 가지에 5
월 중순∼9월경 화아가 분화하는 종류의 전정은 낙화 직후에 시행한다.
(6) 매실, 복숭아, 개나리, 히어리 등 가지 전체에 화아가 많은 종류는 화아분화 후에 전정하
면 꽃이 감소하기는 하나 가지에 화아가 많기 때문에 수형 위주로 시행한다.
수목전지설계방법
(1) 조경수목류의 전정은 다듬기와 솎아내기로 구분하며 수세, 미관, 통풍, 채광 등을 고려한다.
(2) 도심부의 전깃줄과 각종 가로장치물로 인해 플라타너스 등 맹아력이 강한 수목의 수고를 낮
추어야 할 경우, 사슴뿔모양으로 강전정하여 조형미를 살리고 절단부의 가지는 1∼3년마다
정리하는 것으로 설계하여 끝부분에 혹이 형성되도록 한다
(3) 조형소나무 또는 미관적으로 중요한 장소에 식재된 소나무의 경우 고유 수형을 유지하기 위
하여 소나무 순지르기(적심) 작업을 추가로 실시한다.
(4) 생울타리 전정은 수목의 수형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이 아닌 인위적인 모양으로 유도하는
특수 전정으로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면서 치밀한 수관을 가지도록 집약적으로 실시한다.
(5) 전정 후 부산물은 폐목처리 또는 분쇄하여 활용한다.
열기 닫기